개정 세법이 적용된 연말정산 모의계산을 통해 확인해보세요!
1. NAHAGO 앱에서 연말 모의계산 > 2023년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 > 2023년 모의계산 시작하기 버튼을 탭합니다.
- 연말 모의계산을 처음 이용하는 사용자의 경우, 서비스 첫 진입 시 본인정보입력 화면이 노출되며, 진행했던 이력이 존재할 경우 연말정산 모의계산 메인화면으로 진입됩니다.
- 소속된 회사에 입력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부양가족 정보 및 급여정보는 최초 1회 자동으로 반영됩니다.
-
연말정산 모의계산 메인화면에 '전년도 급여조회', '연도별 연말정산 현황' 을 통해 전년도 급여 및 연도별 연말정산 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▶ 전년도 급여조회
전년도에 입력된 급여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전년도 급여조회를 통해 현근무지, 종전근무지에서 입력된 급여명세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
▶ 연도별 연말정산 현황
연도별 연말정산 현황을 통해 근무중인 회사의 연말정산 자료를 기반으로 3개년도의 연말정산 현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2. 2023년 모의계산 시작하기 버튼 탭 > 부양가족 단계에서 입력된 부양가족 정보를 확인하고, 수정/추가가 필요할 경우 '+부양가족 수정/추가' 버튼을 통해 수정이 가능합니다.
이후, 하단 [다음] > 급여입력 단계에서 모의계산할 급여합계를 확인합니다.
-
부양가족 정보 및 급여정보는 소속된 회사에 입력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연말정산 모의계산 서비스 첫 진입 시점 기준으로 데이터가 최초 1회 자동으로 반영됩니다.
※ 부양가족정보 및 급여정보 재반영은 연말정산 모의계산 메인화면에 금액 우측 ⟳(갱신) 아이콘 탭시 갱신시점의 부양가족정보 및 급여정보가 재반영됩니다. 직접 추가 입력한 자료는 모두 삭제되는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 -
부양가족 단계는 본인 및 부양가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 및 삭제할 수 있습니다.
부양가족 입력 시 성명, 생년월일, 부양가족관계등의 기초정보를 입력하면 연말정산 계산에 필요한 기본공제와 추가공제는 자동으로 반영됩니다. (단, 장애인공제는 직접 선택해야 합니다.) - 절세팁 버튼을 통해 부양가족 공제정보, 절세팁, 구비서류 등 안내사항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- 급여입력은 단계는 '회사급여반영' 기능을 통해 급여자료입력 메뉴에 입력된 데이터 불러오기 또는 추가 버튼을 통해 직접입력이 가능합니다.
3. 급여입력 단계에서 회사급여를 불러와 자동 반영 또는 직접 입력을 통해 급여데이터를 반영합니다.
▶회사급여 반영
- 현재 시점 기준으로 회사에 입력된 급여를 자동으로 불러와 반영하는 기능으로, 직접 추가 입력한 자료는 삭제되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.
- 회사급여가 반영된 경우는 귀속연월 우측에 회사 아이콘이 표기되며, 직접입력한 급여의 경우 연필 아이콘이 표기됩니다.
- 아직 지급일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또는 입력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'+추가' 버튼을 탭하여 월별 급여데이터를 직접입력 할 수 있습니다.
▶월별 직접입력
+추가 > 월별 직접입력 > 급여월 선택 > 급여 입력 후 계산기 버튼 탭 시 공제항목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.
이후, 저장버튼 탭 시 계속입력 팝업을 통해 건별로 다음달 급여 데이터 입력이 가능합니다.
※ 입력된 급여가 존재할 경우 우측상단 '+추가' 버튼을 탭하여 월별 직접입력 또는 월평균 급여계산이 가능합니다.
▶월 평균 급여계산으로 추가
현재까지 받은 급여 기준으로 한달치 평균급여를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기능으로, 계산완료 시 아직 급여일이 도래하지 않은 남은월의 급여가 자동반영됩니다.
※ 1년치 급여가 모두 입력된 경우 '월 평균 급여계산으로 추가' 버튼은 노출되지 않습니다.
+추가 > 월 평균 급여계산으로 추가 > 현재 입력되어 있는 모의계산 급여 합계 확인 후 '월 평균 급여 계산하기' 버튼 탭 > 계산된 월평균 급여 내역 확인 후 '월 평균 급여 반영' 버튼을 탭하여 반영합니다.
▶모의계산 급여 복사
최소 1건의 급여 데이터 입력 후 해당건 체크 > 모의계산 급여 복사 > 복사할 월을 건별 선택 또는 우측 전체선택을 탭하여 선택을 완료합니다.
급여월복사 팝업에서 확인 버튼 탭 시 선택한 월 기준으로 급여데이터가 복사됩니다.
▶모의계산 금액 삭제
삭제하고자 하는 급여 건 체크 > 모의계산 급여 삭제 > 확인 버튼을 탭하여 선택한 모의계산 급여를 삭제합니다.
4. 자료반영 단계에서 '연말정산 간소화 PDF 자료반영' 버튼을 통해 연말정산 간소화 PDF 파일을 적용하여 공제자료를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.
▶ PDF 파일 직접 업로드
홈택스를 통해 미리 연말정산 간소화 PDF 파일을 핸드폰에 저장 후 진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연말정산 간소화 PDF 자료 반영 > PDF 파일 직접 업로드 > 적용 > 미리 저장해둔 연말정산 PDF 간소화 자료를 선택하여 자료 반영이 가능합니다.
▶ 홈택스 간편인증을 통한 업로드
간편인증을 통해 연말정산 간소화 PDF 파일을 자동으로 반영합니다.
연말정산 간소화 PDF 자료반영 > 홈택스 간편인증을 통한 업로드 > 적용 > 홈택스 간편인증 팝업에서 확인 버튼을 탭합니다.
간편인증 방식 및 본인인증 정보 입력 > 약관동의 후 인증 요청 알림이 전송됩니다.
간편인증 완료 후 > 국세청 PDF 자료 조회하기 > 자료반영 > 내역을 확인하고 다음 버튼을 탭합니다.
5. 공제자료 입력 단계에서 반영된 연말정산자료 조회 및 수정/추가 입력이 가능합니다.
- 간소화자료로 반영된 내역은 각 공제항목에 적용되며, 각 항목 클릭 시 추가 자료입력 및 수정이 가능합니다.
- 각 항목 우측 상단 'ⓘ' 버튼을 클릭하여 공제 항목별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6. 공제자료 입력 단계에서 확인 및 추가사항 입력이 완료되었다면, 하단 '예상세액 계산하기' 버튼을 탭하여 결과조회가 가능가 가능하며, '상세내역 확인하기' 버튼을 탭하여 상세 내역 확인이 가능합니다.
- 연말정산 항목별 공제한도 확인
항목별로 납입금액 / 공제한도를 확인 할 수 있으며, 추가입력사항이 존재할 경우 각항목을 클릭하여 입력화면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. -
전년도 연말정산 자료비교
전년도 연말정산자료가 존재할 경우 모의계산을 통해 계산된 예상세액과 전년도 실제 연말정산 결과를 비교하여 차감납부세액, 연말정산 사용액 등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※ 연말정산 모의계산은 예상 급여등이 포함된 결과이므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